'시니어 브레인 트레이닝지도사' 란?
자격 취득 시 시니어 인지케어 서비스(시니어 1:1 방문학습)학습관리가 가능하며 데이케어센터, 복지관 등 그룹수업 출강 및 브레인 트레이닝지도사 양성이 가능합니다.
브레인 트레이닝 KIT 1단계, 2단계 : 주로 인지케어서비스에서 활용
브레인 트레이닝 TAIK, 기억증진 프로그램 : 데이케어센터, 복지관 등 그룹수업 출강 등
자격 구분
자격명 | 등급 | 구분 | 수준 및 직무내용 |
---|---|---|---|
시니어 브레인 트레이닝지도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록 [등록번호 제 2023-005477호] |
2급 | 일반 지도사 |
시니어 대상 자기주도형 기억증진학습 이론 바탕 즉시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한 수준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1급 | 전문강사 |
시니어 대상 자기주도형 기억증진학습 이론 및 경험 기반 맞춤형 교수설계가 가능한 수준 2급 지도사 양성 및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자격 취득 Flow

- 교육과정 신청
- 교육과정 수강(이론)
- 실습 및 평가
- 자격증 발급
- 시니어 1:1방문학습 장기&복지기관 등 그룹학습 출강
교육 과정
내용 | 교수요목 | 운영 방법 | ||
---|---|---|---|---|
이론 | 브레인 트레이닝 개요 1 | 1시간 |
브레인 트레이닝 학습 이론 브레인 트레이닝 제품 특장점 및 개요 주차별 학습 프로세스 (1,3주 / 2,4주) 주차별 학습 특징 및 학습 전략 (1,3주 / 2,4주) 주차별 학습 영역 (1,3주 / 2,4주) 학습 훈련 및 예시 |
오프라인 집합교육 [6시간] |
브레인 트레이닝 개요 2 | 1시간 |
교재 표지/내지 구성 학습 가이드 활용 방법 수업 지도안 구성 내용 및 요소 활용 방법 활동자료 및 영상 활용 방법 |
||
실습 | 학습활동의 구성 [교재 / 교구 체험] |
3시간 |
학습관리(전개 활동) / 핵심 활동 - 기본 활동- 선택 활동 구분 브레인 트레이닝 Kit 교재 및 교구 체험 1호(인지 영역), 3호(신체 영역), 6호(수 영역),7호(언어영역), 11호(만들기 영역) |
|
학습관리 표준 MOT 이해 및 적용 | 1시간 |
학습관리 표준 MOT 관리 포인트 학습관리 프로세스 R/P 교육 내용 시험(이론 및 실습) |
||
시니어 바로알기 | 1시간 |
노인 심신의 변화 노인의 치매 및 우울증 증상 |
온라인 콘텐츠 [자율 수강] |
|
강의역량 스킬업 | 1시간 |
강사의 자질과 역량 라포 형성 및 강의 스킬 호감 주는 강사 이미지 메이킹 |
'시니어 신체활동 지도사' 란?
자격 취득 시 시니어 신체케어 서비스(시니어 1:1 방문학습) 학습관리가 가능하며 데이케어센터, 복지관 등 그룹 수업 출강 및 시니어 신체활동 지도사 양성이 가능합니다.
자격 구분
자격명 | 등급 | 구분 | 직무내용 |
---|---|---|---|
시니어 신체활동 지도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록 [등록번호 제 2023-004604호] |
2급 | 일반 지도사 |
시니어 대상 신체활동(운동)이론 & 실기를 바탕 즉시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한 수준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1급 | 전문강사 |
시니어 대상 신체활동(운동)이론 & 실기 & 경험 기반 맞춤형 교수설계가 가능한 수준 2급 지도사 양성 및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자격 취득 Flow

- 교육과정 신청
- 교육과정 수강(이론)
- 실습 및 평가
- 자격증 발급
- 시니어 1:1 방문학습 장기&복지기관 등 그룹학습 출강
교육 과정
내용 | 교수요목 | 운영 방법 | ||
---|---|---|---|---|
![]() |
노화와 신체활동 | 30분 |
노화와 노년기의 변화 노인 신체활동의 중요성 노인 신체활동의 이해 노인 신체활동 중점요소 |
온라인 컨텐츠 |
기초 해부학 | 40분 |
기초해부학의 이해 관절의 구조와 기능 신경계 구조와 기능 |
||
신체활동워크북 개요 및 교재구성 | 30분 |
신체활동워크북 개요 및 교재구성 |
||
신체활동워크북 표준MOT 이해 및 적용 | 40분 |
신체활동워크북 표준MOT 이해 및 적용 |
||
노인 안전사고 예방과 처치 | 40분 |
노인 안전사고 예방의 중요성 신체활동 시 주의질환 및 증상 신체활동 중 응급상황별 처치 |
||
![]() |
시니어 건강 체력 측정 실습 및 평가 | 1시간 |
시니어피트니스테스트 실습 평가 |
오프라인 집합교육 |
Passive 스트레칭 실습 및 평가 | 3시간 |
Passive 스트레칭 루틴 실습 평가 |
||
소도구 & 맨몸 운동법 실습 | 2시간 |
마사지볼 운동법 폼롤러 운동법 맨몸 관절가동 운동법 |
- 각 차시별 평가 결과 수료 반영
- 실습 과정 후 실습 활동 자료 제공
'시니어 인지놀이 지도사'란?
자격 취득 시 장기요양, 노인복지기관 등 시니어 대상 인지 활동 프로그램 출강 및 인지놀이지도사 양성이 가능합니다.
자격 구분
자격명 | 등급 | 구분 | 수준 및 직무내용 |
---|---|---|---|
시니어 인지놀이 지도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록 [등록번호 제 2023-005958호] |
2급 | 일반 지도사 |
시니어 대상 효과적인 인지놀이 활동에 대한 이론 바탕 즉시 프로그램 수행이 가능한 수준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1급 | 전문강사 |
시니어 대상 인지놀이 활동에 대한 이론 및 경험 기반 맞춤형 교수설계가 가능한 수준 2급 지도사 양성 및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자격 취득 Flow

- 교육과정 신청
- 교육과정 수강(이론)
- 실습 및 평가
- 자격증 발급
- 장기요양&복지기관 등 강의 및 수업연계
교육 과정
차시명 | 시간 | 내용 | 운영 방법 | |
---|---|---|---|---|
![]() |
교구 코그 케어 (브레인트레이닝 Kit) | 1시간 |
학습 프로세스 교재 및 교구 구성 교수방법 이해 및 적용 |
온라인 콘텐츠 |
음악 뮤직 케어 | 1시간 |
노인인지음악의 의미, 이해, 효과 음악 프로그램의 종류와 기능 |
||
미술 아트 케어 | 1시간 |
노인인지미술의 의미, 이해, 효과 미술매체의 종류와 기능 |
||
신체 헬스 케어 | 1시간 |
노인신체활동의 의미, 효과 노인 맞춤운동 종류 및 방법 건강증진운동 종류 및 방법 루틴운동 종류 및 방법 |
||
시니어 바로알기 | 1시간 |
노인 심신의 변화 노인의 치매 및 우울증 증상 |
||
강의역량 스킬업 | 1시간 |
강사의 자질과 역량 라포 형성 및 강의 스킬 호감 주는 강사 이미지 메이킹 |
||
![]() |
영역별 실습 | 6시간 |
교구 브레인트레이닝 Kit 교수방법 학습 가이드 및 활동 자료의 활용음악 가사, 리듬 , 강약, 가사 규칙 놀이 및 인지활동미술 이지드로잉 캘리그래피 어반스케치신체 루틴, 체어, 실버, 밴드 운동 |
오프라인 집합교육 |
- 각 차시별 평가 결과 수료 반영
- 수료 후 교구, 음악, 미술, 신체 영역별 강의안, 활동자료 제공
시니어 자립지원케어 지도사란?
철저한 기본케어를 통해서 ADL의 자립성이 향상되고 이는 곧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힘의 근간이 됩니다.
자격 구분
자격명 | 등급 | 수준 및 직무내용 |
---|---|---|
시니어자립지원케어지도사 | 2급 |
시니어 자립지원 케어의 지식과 실천 방법의 이해로 요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행이 가능한 수준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보건복지부 [등록번호2024-006093] |
1급 |
요양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행이 가능한 수준 2급 지도사 양성 및 일반 지도사 직무 수행 |
자격 취득 Flow

- 교육과정 신청
- 교육과정 수강(이론)
- 실습 및 평가
- 자격증 발급
- 시니어 1:1방문학습 장기&복지기관 등 그룹학습 출강
교육 과정
내용 | 교수요목 | 운영 방법 | ||
---|---|---|---|---|
이론 | 초고령사회와 노인케어 |
1시간 |
케어의 기본 이념 요양서비스와 건강 현행 요양서비스의 문제점 |
온라인 콘텐츠 (자율 수강) |
자립지원케어의 배경이론 |
1시간 |
수발 중심 케어 의료모델과 생활모델 니즈지향형 케어 |
||
자립지원케어의 기초 이론 |
1시간 |
ADL과 QOL 자립지원케어의 구성요소 기본케어와 개별케어 |
||
자립지원케어와 리스크 매니지먼트 |
1시간 |
리스크 매니지먼트의 이해 리스크의 분석과 대응 리스크 예방과 자립지원케어 |
||
실습 | 수분케어 | 1시간 |
물과 건강 탈수증의 진단과 예방 수분케어의 실천 |
오프라인 집합교육 (6시간) |
식사케어 | 1시간 |
식사의 기초이론 식사케어의 실천 구강케어와 질병 |
||
이동/보행케어 | 1시간 |
이동/보행케어의 원리 보디 매커닉스의 활용 보행케어의 실천 |
||
배설케어 | 1시간 |
배설케어의 과제 배설의 생리학과 배설장애 배설케어의 실천 |
||
자립지원케어의 개별케어 |
1시간 |
ADL의 자립과 QOL 생활기능의 분석과 케어목표 자립지원케어의 사례 |
||
현장실천을 위한 사례 연구 |
1시간 |
가사지원 서비스 이용 가족의 요양부담 경감 동영상을 통한 사례 연구 / 토론 |